“교통비 절반이 돌아온다?” 17개월 만에 400만 명이 쓴 K-패스의 비밀

“교통비 절반이 돌아온다?” 17개월 만에 400만 명이 쓴 K-패스의 비밀

청년 30%, 다자녀 50%, 저소득층 53.3% 환급! 내년엔 무제한 정액권까지


📰 K-패스, 17개월 만에 누적 이용자 400만 명 돌파

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(이하 대광위)는 2025년 10월 30일, 교통비 절감을 위한 대표 복지 정책인 ‘K-패스(K-PASS)’의 이용자가 출시 17개월 만에 400만 명을 돌파했다고 밝혔습니다.

K-패스는 대중교통을 월 15회 이상 이용한 시민에게 최대 60회까지 교통비 일부를 환급해주는 제도로,
교통비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목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.




💳 환급 구조 — 청년 30%, 저소득층 53.3%, 다자녀 가구도 혜택

현재 K-패스 환급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👇

구분환급률
일반 이용자20%
청년(만 19~34세)30%
2자녀 가구30%
3자녀 이상 가구50%
저소득층53.3%

올해부터 다자녀 가구 유형이 새로 신설되어 더 많은 가정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,
내년에는 만 65세 이상 어르신(30%)도 지원 대상에 포함될 예정입니다.


🚋 “무제한 정액권 패스” 도입 예정 — 교통비 절감의 혁신

2026년부터는 무제한 정액권 형태의 K-패스도 새로 도입될 예정입니다.
이는 고빈도 출퇴근 이용자나 대중교통을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시민의 부담을 근본적으로 줄이기 위한 제도입니다.

💬 김용석 대광위원장
“K-패스는 시행 1년 반 만에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대표적인 민생정책으로 자리 잡았습니다.
내년엔 혜택을 대폭 확대하고, 현장의 목소리를 제도에 반영하겠습니다.”


🎁 10월 31일부터 ‘이벤트 + 브랜드 공모전’ 진행

대광위는 10월 31일부터 11월 10일까지
다양한 온라인 이벤트와 무제한 정액권 패스 브랜드명 공모전을 진행합니다.

  • 이벤트 기간: 10월 31일 ~ 11월 10일

  • 참여 대상: 신규 가입자 및 고빈도 이용자

  • 참여 방법:

    • 대광위 공식 누리집

    • 국토교통부 홈페이지

    • 한국교통안전공단 홈페이지

📌 참여자 혜택:
추첨을 통해 경품 증정,
우수 제안자에게는 소정의 상품 제공 예정입니다.






🚈 K-패스, 교통복지의 상징으로 자리잡다

K-패스는 2024년부터 본격 시행된 이후,
청년 교통비 절감,
저소득층 이동권 보장,
대중교통 활성화
다방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며 교통복지의 대표 모델로 자리 잡았습니다.

특히 청년층과 다자녀 가구의 실질적인 생활비 절감에 큰 도움을 주며,
국민이 체감하는 진짜 복지 정책”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.


🧭 한눈에 보는 K-패스 핵심 정리

항목내용
정책명K-패스 (K-PASS)
시행 기관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
시행 기간2024년 5월 ~ 현재
누적 이용자400만 명 돌파 (2025년 10월 기준)
환급 조건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
환급 횟수월 최대 60회
환급률20~53.3% (유형별 차등)
추가 계획2026년부터 무제한 정액권, 65세 이상 어르신 유형 도입
이벤트 기간10월 31일 ~ 11월 10일
참여 방법국토부·대광위·교통안전공단 홈페이지

🏁 마무리

17개월 만에 400만 명이 선택한 K-패스는
이제 단순한 교통카드를 넘어 ‘국민형 교통복지 플랫폼’으로 성장했습니다.

내년부터는 어르신·고빈도 이용자까지 확대,
그리고 무제한 정액권 도입으로
교통비 부담을 근본적으로 줄이는 새로운 전환점이 될 전망입니다.

다음 이전